전혀 효과가 없는 것이 틀림없는 가짜약을, 의사로부터 '잘 듣습니다'라는 말을 듣고 먹으면, 정말 효과가 생겨버립니다. 또한 가짜약이라고 밝혀진 후에도 효과가 지속되는, 아주 신비한 '플라시보 효과'이지만, 그 메커니즘은 완전히 해명되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실시해온 플라시보 효과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이 소규모의 것이었지만, 미국 다트머스 대학 심리 뇌과학과, 토어 웨이저 등의 연구 그룹은, 다각적으로 플라시보 효과를 발생시키는 신경학적 메커니즘의 해명에 도전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판명된 것은, 플라시보 효과가 감각 처리 및 인지 처리 등, 여러 뇌 영역에서 진통 작용을 가져다준다는 것입니다.
■ 통증 자체가 바뀌는 것인가? 아니면 고통의 인식이 바뀌는 것인가?
'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된 연구는, 참가자 개개인의 뇌의 전체 이미지를 조사한 것으로는, 지금까지로는 사상 최대의 분석입니다. 분석 대상이 된 것은, 총 600명의 건강한 참가자를 조사한 20개의 신경 영상 연구입니다.
이 연구의 참가자들은, 검사 시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연구가 밝혀 내려고 한 것은, 어떻게 느꼈는지의 문제가 아니라, 뇌가 플라시보(위약)에 대해 의미 있는 반응을 하고 있는지 였습니다.
과연 플라시보는, 통증이 생성되는 메커니즘 자체에 작용하고 있는가? 아니면 그냥 통증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 것뿐인가? 근본적으로 그 고통은 정말 완화된 것일까?
■ 플라시보는 통증이 만들어지는 경로에 작용하고 있다
우선 주목해야 할 것은 '시상'의 변화입니다. 시상은 시각 · 청각 · 체성 감각의 통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통증을 느끼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해집니다. 그 시상의 일부가, 가장 강하게 플라시보의 영향을 받고 있던 것입니다.
또한 통증을 느끼는 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체성 감각 피질', 동기 부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통증을 느낄 때 그것을 행동으로 연결하는 '대뇌기저핵'에도 영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플라시보는 통증의 전달 경로에 작용한다라는 발견은, 플라시보에 의해 '후부도피질'의 활동이 억제되는 것을 밝히고 있다고 합니다. 이곳은 고통을 첫 번째 단계에서 일으키고 있는 영역 중 하나로, 피질 중에서는 자극에서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유일한 장소입니다.
시상부터 후부도피질, 이것은 고통의 주된 전달 경로입니다. 즉 플라시보는, 통증이 만들어지는 경로에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됩니다.
■ 플라시보는 통증을 느끼는 생각에도 작용한다
또한 과거의 연구에서는, 플라시보에 의해 '전두전피질'이 활발해지는 것도 밝혀졌습니다.
전두전피질은, 통증을 느낀 상황을 파악하고, 지금 아프다는 생각을 유지하는 곳입니다. 여기가 활성화하면, 통증을 방지하는 오피오이드를 방출시키는 경로가 열리고, 통증의 신호가 수정됩니다.
하지만 전두전피질의 활성화 패턴은 조금 달라 보입니다. 왜냐하면 항상 일관되게 활발해지는 영역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자기 조정 관련 영역의 그것과 닮아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영역에는, 생각과 마음의 상태에 따라 다른 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이런 종류의 처리가 여러 가지 섞여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플라시보가 주어진 상황이나 처방된 사람의 성격 등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생각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 플라시보 효과는 복수의 뇌 영역이 관여하고 있었다
플라시보 효과는 감각 · 침해 프로세스, 또는 인지 · 감정 프로세스의 어느 한쪽에 따르면 것이 아니라, 플라시보 투여 시의 상황이나 개인적인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다양한 메커니즘이 결합되어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입니다.
라고, 연구 그룹의 한 명인, 독일 에센 대학 병원의 우루리케 뷘겔 교수는 설명합니다.
플라시보에 진짜 약에 뒤지지 않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여러 가지 뇌 영역과 메커니즘이 반응하고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 효과는, 잘 사용할 수만 있다면 높은 이용 가치가 있고, 때로는 '신비 체험'조차 맛볼 수 있을 만큼 강력한 것입니다.
'지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각장애로부터 후각을 되찾는 방법 (0) | 2021.03.21 |
---|---|
커피를 건강하게 마시는 6가지 방법 (0) | 2021.03.17 |
자각몽을 꾸기 위한 과학적 테크닉(호주 연구) (0) | 2021.03.11 |
꿈을 기억해 두는 6가지 방법 (0) | 2021.03.10 |
시력 검사 : 색체 능력 테스트 (0) | 2021.02.27 |
댓글